99클럽 코테 스터디 15일차 TIL - 같은 숫자는 싫어
오늘의 문제
프로그래머스 - 코딩테스트 연습 - 같은 숫자는 싫어 | 프로그래머스 스쿨
문제내용과 풀이
문제
배열 arr가 주어집니다. 배열 arr의 각 원소는 숫자 0부터 9까지로 이루어져 있습니다.
이때, 배열 arr에서 연속적으로 나타나는 숫자는 하나만 남기고 전부 제거하려고 합니다.
단, 제거된 후 남은 수들을 반환할 때는 배열 arr의 원소들의 순서를 유지해야 합니다.
예를 들면, arr = [1, 1, 3, 3, 0, 1, 1] 이면 [1, 3, 0, 1] 을 return 합니다. arr = [4, 4, 4, 3, 3] 이면 [4, 3] 을 return 합니다. 배열 arr에서 연속적으로 나타나는 숫자는 제거하고 남은 수들을 return 하는 solution 함수를 완성해 주세요.
제한사항
- 배열 arr의 크기 : 1,000,000 이하의 자연수
- 배열 arr의 원소의 크기 : 0보다 크거나 같고 9보다 작거나 같은 정수
입출력 예
[1,1,3,3,0,1,1] - [1,3,0,1]
[4,4,4,3,3] - [4,3]
내 풀이
문제 분류가 스택/큐였고 다양한 방법으로 풀 수 있을 것 같은데, 난 아무생각없이 LinkedList를 사용했다.
import java.util.LinkedList;
import java.util.List;
public class Solution {
public int[] solution(int []arr) {
List<Integer> numbers = new LinkedList<>();
numbers.add(arr[0]);
for (int i = 1; i < arr.length; i++) {
if (arr[i] != arr[i - 1]) {
numbers.add(arr[i]);
}
}
int[] result = new int[numbers.size()];
for(int i = 0; i < numbers.size(); i++) {
result[i] = numbers.get(i);
}
return result;
}
}
코드 실행을 통과하고 제출했는데 효율성 테스트를 시간초과로 통과 못했다.
알아보니 LinkedList는 노드들이 서로 연결된 방식으로 구성되므로, 특정 위치의 노드를 찾기 위해선 처음 노드부터 하나씩 이동해야 한다고 한다.
즉 반복문에서 LinkedList.get(i) 같이 사용할 경우, 매번 첫 번째 노드부터 탐색하여 i번째 노드까지 이동해야 한다. 이를 반복하면 각 호출이 O(n)에 가까운 시간이 걸리며, 전체 반복문에서는 O(n^2)의 시간 복잡도가 발생하게 된다고 한다. 해서 인덱스를 통해 바로 접근할수있는 ArrayList로 변경했다. ArrayList의 인덱스를 통한 연산은 항상 O(1)이라고 한다.
import java.util.ArrayList;
import java.util.List;
public class Solution {
public int[] solution(int[] arr) {
List<Integer> numbers = new ArrayList<>();
numbers.add(arr[0]);
for (int i = 1; i < arr.length; i++) {
if (arr[i] != arr[i - 1]) {
numbers.add(arr[i]);
}
}
int[] result = new int[numbers.size()];
for (int i = 0; i < numbers.size(); i++) {
result[i] = numbers.get(i);
}
return result;
}
}
다른 풀이
import java.util.*;
public class Solution {
public int[] solution(int []arr) {
ArrayList<Integer> tempList = new ArrayList<Integer>();
int preNum = 10;
for(int num : arr) {
if(preNum != num)
tempList.add(num);
preNum = num;
}
int[] answer = new int[tempList.size()];
for(int i=0; i<answer.length; i++) {
answer[i] = tempList.get(i).intValue();
}
return answer;
}
}
num의 최근 값을 남기는 식으로 쌓는 방법도 있었고,
import java.util.*;
public class Solution {
public Stack<Integer> solution(int []arr) {
Stack<Integer> stack = new Stack<>();
for(int num : arr){
if(stack.size() == 0 || stack.peek() != num){
stack.push(num);
}
}
return stack;
}
}
Stack으로 아주 간단하게 해결하는 법도 있었는데 이건 반환 타입이 달라지긴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