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테고리 없음

99클럽 코테 스터디 15일차 TIL - 카드1

오형스톤 2024. 11. 12. 21:45

오늘의 문제

백준 - 2161번: 카드1

문제내용과 풀이

문제  

N장의 카드가 있다. 각각의 카드는 차례로 1부터 N까지의 번호가 붙어 있으며, 1번 카드가 제일 위에, N번 카드가 제일 아래인 상태로 순서대로 카드가 놓여 있다.

이제 다음과 같은 동작을 카드가 한 장 남을 때까지 반복하게 된다. 우선, 제일 위에 있는 카드를 바닥에 버린다. 그 다음, 제일 위에 있는 카드를 제일 아래에 있는 카드 밑으로 옮긴다.

예를 들어 N=4인 경우를 생각해 보자. 카드는 제일 위에서부터 1234 의 순서로 놓여있다. 1을 버리면 234가 남는다. 여기서 2를 제일 아래로 옮기면 342가 된다. 3을 버리면 42가 되고, 4를 밑으로 옮기면 24가 된다. 마지막으로 2를 버리고 나면, 버린 카드들은 순서대로 1 3 2가 되고, 남는 카드는 4가 된다.

N이 주어졌을 때, 버린 카드들을 순서대로 출력하고, 마지막에 남게 되는 카드를 출력하는 프로그램을 작성하시오.

입력

첫째 줄에 정수 N(1 ≤ N ≤ 1,000)이 주어진다.

출력

첫째 줄에 버리는 카드들을 순서대로 출력한다. 제일 마지막에는 남게 되는 카드의 번호를 출력한다.

 

입출력 예 

7 - 1 3 5 7 4 2 6

 

내 풀이

위, 아래 키워드를 보고 Stack을 쓰려 했지만, Stack은 LIFO구조라 맨 위 요소를 맨 밑으로 옮기는 메서드가 없어서 내가 임의로 어디 담았다가 하지 않는 이상 안될거라고 생각했다. 그렇게하면 하드코딩이 될 것 같아서 Queue를 사용했다.

public static void main(String[] args) throws IOException {

        BufferedReader br = new BufferedReader(new InputStreamReader(System.in));
        BufferedWriter bw = new BufferedWriter(new OutputStreamWriter(System.out));

        int n = Integer.parseInt(br.readLine());

        Queue<Integer> queue = new LinkedList<>();

        for (int i = 1; i <= n; i++) {
            queue.offer(i);
        }

        StringBuilder result = new StringBuilder();

        while (queue.size() > 1) {
            // 1. 맨 위 카드 버림
            result.append(queue.poll()).append(" ");
            // 2. 다음 맨 위 카드 맨 아래로 이동
            queue.offer(queue.poll());
        }

        // 마지막 카드 추가
        result.append(queue.poll());

        bw.write(result.toString());
        
        bw.flush();
        br.close();
        bw.close();
    }

 

원래는 String에 += 하면서 이어붙였는데, 그럴 때 마다 기존 문자열에 덧붙이면서 수정되는 줄 알았지만

String은 불변 객체라 새로운 String 객체를 생성한다고 한다.

String result = "";
result += "Hello ";
result += "World!";

 

이런식으로 하면 그냥 덧붙여지는 것 같지만 result += "문자열" 할 때마다 새로운 String 객체가 생성되게 되고, result는 새로운 객체를 참조하며 기존에 참조하던 객체는 참조되지 않게 된다. 해서 내부적으로 가변 버퍼를 사용해 문자열을 수정할 수 있는 StringBuilder를 사용했고, 앞으로도 계속 사용할 것 같다.